인조석물갈기 11

오래된 인조석 바닥 원상복구 작업

오래된 인조석 바닥 원상복구 작업목동 00 은행 자리 인조석 바닥!건축물에 인조석으로 마감된 바닥을 보면 대충 건령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2000년대 초만 해도 인조석물갈기라 해서 황동 줄눈재를 설치하고 시멘트와 종석(種石)을 혼합해 바른 후에 양생을 시켜 연삭, 연마 과정을 통해 현장 테라조(terrazzo)로 완성하는 마감재이며, 당시에는 연삭, 연마 과정에 물을 사용했다.연삭,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로 인해 환경을 파괴한다 해서 점차 물로 갈아내는 인조석 마감이 사양 되어갔다. 당시 2000년도 이전에만 해도 사고위험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지 아니하던 시절로 “나는 괜찮아”라는 의식 수준의 안전 불감증이 만연해 있었고, 의외로 감전사고, 낙상사고 등이 많이 발생한 시기였었다.그 당시만 해도 ..

인조석 개선 공사 & 계단 콘크리트 폴리싱

인조석 개선 공사 & 계단 콘크리트 폴리싱 성수동 D까페 리모델링 기존에 시공되어 있던 인조석(현장테라죠 또는 인조석물갈기)을 개선 작업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새로 만들어지는 계단실은 철판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채운 후에 면처리 방식의 그라인딩 작업을 통해 콘크리트 폴리싱으로 완성을 시킨다. 계단실은 규격의 차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바닥에 비해 2~3배의 인력이 소요된다. 영업 중일 때 지나다 보니, 전체적으로 빈티지하게 어울려 보이는 듯하다. 바닥 이야기 Tel : 031) 281 - 6999, 6996 www.smcoat.com 세민기공 www.smcoat.com

인조석 단면복구 & 인조석 건식갈기 다른 느낌 (현장테라죠)

인조석 단면복구 & 인조석 건식갈기 다른 느낌 (현장테라죠) 사용하던 건축물을 개보수(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바닥을 철거하지 않고 개선(원상복구)만 해서 사용하기 위해 건식면처리 후 씰러(표면보호재)로만 마감처리를 한다. 문틀을 먼저 설치하고 인조석을 시공했기에 출입문을 철거하면 그 부분에 인조석을 새로 시공하고 건식으로 갈기를 해야 한다. 십수년 또는 몇십년 전에 시멘트에 혼합해서 시공했던 종석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수소문 끝에 95%정도 비슷한 골재를 어렵게 찾아 인조석을 바른다. 동일한 백시멘트로 시공 후 연삭, 연마를 마치고 보니, 색상의 느낌이 다르다. 이색짐이~~~~ 어쩌면 기존의 바닥느낌이 원래는, 나중에 단면복구한 마감상태의 느낌과 같았을까?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겠지만,,,, 채석장마다..

어느 팔각정 바닥에서 본 인조석마감

어느 팔각정 바닥에서 본 인조석마감 현장 미팅을 끝내고 우연히 근처 팔각정을 보게 됐다. 강변 근처에 대략 25년 이상은 되어 보이는 팔각정. 팔각정 내부 바닥이 현장 테라죠, 인조석 마감으로 되어있는 것이 색다르게 보인다. 황동줄눈재도 팔각정 모양 비슷하게 서리가 되어 있다. 예전에는 인조석을 흔히 도끼다시라고도 했다. 인조석 바닥을 살펴보니 다이아몬드 툴 자국(스크레치)이 보이지 않는다. 아주 오래전(대략 35년 전)에는 다이아몬드 툴이 없었고, 숫돌기능의 연마석을 사용했었다. 작업자의 기술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마석을 사용해 인조석 갈기 마감이 된 바닥은 미세한 스크레치가 거의 없지만, 다이아몬드툴로 갈아내고 연마석으로 정벌(고운연마)을 한 인조석 마감바닥은 미세한 스크레치가 간혹 남겨져 있다. 어..

계단실 인조석 건식갈기

계단실 인조석 건식갈기 작업 인조석(도끼다시, 현장테라죠) 작업 중 계단실은 시간, 인력이 2배 이상은 소요된다. 디딤판과 첼판의 폭이 좁아 핸드그라인더로만 가능하고 물량에 비해 코너 갈기 또한 많다. 건식 갈기 중 먼지를 최소화해야 하니 귀찮더라도 집진기를 연결해서 조심스럽게 연삭, 연마를 해야 한다. 디딤판과 첼판의 황동 논슬립이 훼손되지 않도록 조심해서 해야 하므로 작업 내내 긴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인조석 신축 건식 갈기에 비해 인조석개선 갈기 작업은 좀 더 수월하기는 하나 사용 중인 곳에서의 건식 갈기 작업은 나름 어려운 점이 있다. 신축 인조석은 갈기 후 전체적인 메꿈작업이 필요하나 재생 작업은 메꿈이 별로 없다. 바닥 이야기 문의사항 : 010 - 5415 - 2674

베이커리 공장 친환경바닥마감 1년 후 모습

베이커리 공장 친환경바닥마감 1년 후 모습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폴리싱 마감을 친환경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물론 침투성 표면강화제(이하“ 바닥강화제, 액상하드너)를 이용한 버니싱 마감도 포함한다. 표면강화제는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한 후 수화반응을 일으켜 표면을 밀봉하고, 또한 표면을 단단하게 한다. 표면강화제가 완전 양생이 된 후에는 먼지가 나지 않으며, 생각보다 미끄럽지 않은 것이 강점이라고 본다. 물론, 초기 콘크리트 상태에 따라 작업 방향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품질이 좌우 된다고 본다. 노출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적용되는 표면강화제를 이용한 마감 방법도 여러 형태이다 보니 ① 레이턴스만 제거하고 단순히 도포만 하는 경우도 있고, 이 방법은 초기 광택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② 레이..

계단실 인조석 건식 갈기 작업

계단실 인조석 건식 갈기 작업 인조석(도끼다시, 현장테라죠) 작업 중 계단실은 시간, 인력이 2배 이상은 소요된다. 디딤판과 첼판의 폭이 좁아 핸드그라인더로만 가능하고 물량에 비해 코너 갈기 또한 많다. 건식 갈기 중 먼지를 최소화해야 하니 귀찮더라도 집진기를 연결해서 조심스럽게 연삭, 연마를 해야 한다. 디딤판과 첼판의 황동논슬립이 훼손되지 않도록 조심해서 해야 하므로 작업 내내 긴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인조석 신축 건식 갈기에 비해 인조석개선 갈기 작업은 좀 더 수월하기는 하나 사용 중인 곳에서의 건식 갈기 작업은 나름 어려운 점이 있다. 신축 인조석은 갈기 후 전체적인 메꿈작업이 필요하나 재생작업은 메꿈이 별로 없다. 바닥 이야기 문의사항 : 010 - 5415 - 2674

인조석, 테라죠 개선공사 중 건식 갈기 준비 중

인조석 건식갈기 1 인조석, 테라죠 개선공사 중 건식 갈기 준비 중 전국의 학교들은 방학을 맞아 개선공사를 하는 곳이 많다. 내부는 바닥, 출입문 벽 등 등, 외부는 옥상방수, 외벽 도장 등등 내부의 경우 인조석으로 되어있는 부분은 건령에 따라 원상복구 차원으로 건식 갈기를 하는 경우가 있고 사용하던 인조석바닥 위에 러버타일로 덮는 경우도 있다. 또는 인조석 위에 시공된 러버타일이나 디럭스 타일 등을 제거하고 원래의 인조석 상태로 원상복구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원주에 있는 000중학교는 구건물과 신건물로 연결된 건축물로 구건물 바닥은 인조석(인조석물갈기 또는 도끼다시 라고도 했음)으로 되어 있고 일부 교실은 데코타일로 덮었다가 걷어냈다. 데코타일을 걷을 때 찍힌 자국이 많고 오래된 바닥이라 크랙과 들..

세민기공 바닥공사 중 친환경무기질 바닥재 & 프로플로어폴리싱 마감

세민기공 바닥공사 중 친환경무기질 바닥재 & 프로플로어폴리싱 마감 한남동 리모델링 현장! 크랙방지를 위한 신축줄눈 설치를 하고 프로플로어 T.10mm 시공 후 연마과정을 통해 친환경무기질 바닥재 폴리싱 마감을 한다. 폴리싱 마감 광택을 많이 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게 해야 ..